2주 소리의 과학(2) - 2. 실제 소리 인지



실제 음고/음량 인지

주파수 대역
가청주파수 : 20 ~ 20,000Hz

음고를 인지할 수 있는 대역은 더 줄어든다.

※ 실질적으로 ※
음고 인지 가능한 대역은
60~5000Hz 밖에 되지 않는다고 한다.
음악적으로 인식, 의미되는 대역

리듬
1. 가청 주파수 대역은 아니지만, 
울림수가 아주 낮은 것

2. 음고보다는 박자라고 느껴짐

* 비브라토 /  트레몰라 *
음고/ 음량의 미세한 변화
음고라고 느껴지지 않음

※ Roughness
가청 주파수 대역에는 포함되나,
비브라토/트레몰로 보다 높은 대역의 소리

음고 인지의 특징
- 음의 인지는 주파수나 높이만 관련이 있는 것이 아님
- 길이가 음고의 인지에 영향을 줌
- 음 높이를 인지하기 위해서는 최소한의 음의 길이가 있어야 함

음고 인지 관련 사례
※ 옵타브 매칭(Octave Matching)

낮은 소리와 높은 소리가 날 때,
두 개의 소리가 정확히 옥타브에 맞게 나는지
인지하는 것이 쉽지 않다.

* 등청감 곡선(equal loundness contour)

음량의 인지
- 음고에 따라 음량이 어떻게 다르게 인지 되는가?

물리적으로 같은 크기의 진폭을 가진 소리라도, 진동의 빠르기에 따라
인지하는 소리가 다르다.

음량 인지와 길이의 관계
- 길이에 다라 음량 자체가 달라짐
- 음량의 인지는 소리의 길이와 밀접한 과계를 가짐
------------
실제 음색 인지

음색

- 다른 소리와 구분될 수 있도록 하는 고유한 성질
- 동일한 음고/음량을 가진 두 소리가 서로 다르게 인지되도록 하는 특징

에너지 분포가 일정한 간격을 이루는 것이
하모닉의 가장 중요한 특징이다.

※ 하모닉을 파형이 시간에 따라 똑같은 모양이 나온다.
주기성을 가짐(periodic), 시간 영역은 주기성을 가진다.

Harmonic(주파수 영역) = Periodic(시간 영역)  = 음고 인지 가능

★ Pure Tone(순음) vs Complex Tone(복잡음, 불순음)
사인파냐 아니냐로 구분가능
★ Parial Tone(부분음)
★ Fundamental(기본음)
★ Over Tone(배음)

하모닉하다 = 주파수 정수 배만큼 증가

※ ASA데모

소리를 들을 때 모든 소리 스펙트럼 성분이 하나로 합쳐저 큰소리로 들림
(복잡한 음색 인지)

데모 음원
- 미국 심리음향학회에서 제작한 심리음향학 관련된 데모 음원

※ 가상 음고(Virtual pitch)
- Missing Fundermental
실제 주파수가 없어도  가상으로 주파수 성분이 있다고 생각합니다.

스펙트럼은 소리의 분속, 활용에 있어서 중요하다!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