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주차 - 기억의 유형 4. 제 3유형 변신의 형식과 반기억의 회로



제 3유형 변신의 형식과 반기억의 회로

1. 변신의 형식

1990년대 중반 이후 실험적 전위성을 전개하고 있는 '무의식적 타자성의 시'

전위성(아방가르드)

무의식의 내면 세계를 타자성에 근접하다고 할 수 있다.

자동기술법이나 초현실주의적 기법이 무엇인지 이해할 필요가 있다.

은유와 환유의 연쇄 구조를 근간으로 하는 꿈의 문법을 차용
리좀적 분자운동을 감행한다.

※ 자동기술법

초현실주의 작가들이 사용한 기법으로
무의식적 자동작용, 자동 묘법이라고도 함

※ 초현실주의

20세기 초반 유럽에서 발생한 현대적 문예사죠로
이성의 지배를 받지 않는 무의식의 힘,
환상적 요소 등을 중요시함
초현실주의의 뿌리는 다다이즘, 입체파 등을 들 수 있음

2. 반기억의 회로

변신의 형식(형식의 차원)은
반기억의 회로(구조화의 원리)를 내장한다고 한다.

현재를 과거에 사로잡는 '기억'에 대항하여
기억을 지우며 다른 것을 생성시키거나 변신을 통해
새로운 삶이 구성하는 능력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