CPU에서 ALU의 기능 3가지
* AU : 덧셈, 뺄셈, 나누셈, 곱셈을 연산
* LU : AND, OR, NOT, Ex-OR의 연산
* Register : Shift Register, Staus Register의 명령
컴퓨터는 1과 0으로 된 데이터의 세상이라고 들었을 겁니다.
따라서 우리가 하는 10진법을 입력하면
컴퓨터에서 2진법으로 변환을 시켜서 저장합니다.
부호가없는 Unsigned의 숫자는 아래와 같이 표현을합니다.
위의 표처럼 변환을 시켜주는 겁니다.
하지만 음수를 표현하려면,
Signed Magnitude를 사용해야 합니다.
달라진 점이라면 바로,
제일 앞자리의 숫자에 1을 표기할 때는 음수,
0을 표기할 때는 양수라는 점이 다른 것이죠.
여기서의 문제점은 0에는 양수와 음수의 개념이 없는데,
음수 0, 양수 0이 들어가 있어,
Unsigned에 비해서 Signed는
1개의 조합이 손해를 봅니다.
다른방법으로는 1's Complemetn(1의 보수 표현법)이 있다.
2진법과 비슷하지만 음수영역에서 0이 해당 1에 해당되서
100이 -3이 되는 것이다.
------------
그리고 나아가
2의 보수표현법이 있다.
거의 모든 현대 컴퓨터가
2의 보수표현법을 사용하고 있다.
사실 저도 아직 이해가 되지 않는 부분입니다.
요렇게 하시면 되겠습니다.
2의 보수의 이점은 바로 1의 보수, Signed 표현법에서
양수 0, 음수 0 때문에 조합법이 1개 손실이 되는데,
2의 보수표현법은 손실이 되지 않습니다.
댓글
댓글 쓰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