4주 혁명1 - 상대성이론1 일상 세계의 시간과 공간



고전물리학적 시간과 공간

우리가 알고 있는 시간과 공간

어디에서 만나자라는 것이 되는 이유는
상대방의 시간과 자신의 시간이 할당 된 시간이
똑같기 때문이다.

-----

1. 속도의 덧셈(갈릴레이의 상대성원리)

만약 무빙워크가
초속 1m로 움직이고 있으면
그 위에 사람이 초속 2m로 걷고 있으면
사람의 운동속도는 초속 3m

또한 움직이는 기준과 대상의 움직임에 따라서
속도는 달라질 수 있다.

불명 파란색 화살표는 100km/s라는 속도는 같지만,
상대방의 움직임에 따라 느끼는 속도가 다르다는 것을 알 수 있다.

하지만, 아인슈타인의 상대성이론에서는
이 법칙이 무시된다고 한다.

-----

2. 광속의 절대성

빛의 속도 300,000km/s

만약, 100km/h의 화살표에서
빛을 쏘면

당연히 100km/s + 300,000km/s가 되어야 한다.

하지만,
항상 300,000km/s가 된다.

이것이 바로 광속의 절대성이다.

마이컬슨-몰리 실험(1881년)

맥스웰이론(빛=전자기파)을
바탕으로 에테르의 존재를 증명하기 위해 한 실험

에테르는 증명하지 못했지만,
빛의 절대성을 발견하게 되었다.
하지만 정확한 원리는 설명하지 못했다.


이후 아인슈타인이 상대성이론을 발표하면서,
아인슈타인 曰
"에테르는 없고, 빛은 항상 300,000km/s"
기존의 상식을 타파하게 되었다.

※ 만약 우주선에서 빛의 속도는??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