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 미디어의 이해
가. 미디어(Media)
* medium의 복수형
* 사람이 갖고 있는 수단 도구
* 통신을 위한 교통수단
왜??? 게임을 하면서 미디어를 이야기를 하는가?
온라인 게임을 통해 다른 사람과 소통을 할 수 있다.
Understanding Media - 마샬 맥루한
- 도구를 통해 인간을 확장한다.
- 형식이 내용을 지배한다.
- 사람은 도구를 만들고, 도구는 사람을 만든다.
1) 도구에 따라 바뀐 세상
* 인상파와 주석 물감튜브 *
유화물감의 단점은 빨리마른다는 특징이 있었다.
1841년에 존 랜드의 주석튜브 발명을 한 후 유화물감의 저장이 편해서
밖에 나가 그릴 수 있게 된다.
밖에서도 그림을 그릴 수 있어, 순간의 빛을 포착하는 인상파가 나타나게 된 것이다.
* 철기와 국가 *
철을 사용함으로 노동생산성이 증가함에 따라 잉여생산물을 통해
빈부의 차이가 생기며 계급사회의 형성이 되며
국가의 출현
2) 기술에 따라 바뀐 세상
* 몽골과 기마전술, 기술수용 / 멸망 *
가벼운 갑옷, 승마기술(안장,등자), 기마전술, 식량관리(육포) 등이
발전하여 기동성에 우위를 점했다.
또한 정복한 나라의 기술을 배척하는 것이 아니라 수용을 하였다.
화승총의 등장으로 몰락하게 되었다.
* 인터넷 *
사람의 눈과 귀가 확장되었다고 한다.
전세계의 소식과 정보를 얻을 수 있다.
* 교통수단 *
인간의 발이 확장되었다고 한다.
* 로봇, 기계 *
손으로 할 수 있는 한계를 극복하게 되었다고 한다.
따라서 기술의 발전에 따라 창의성 신장, 교류의 장 확대가 되었다.
2. 엔트로피의 증가
가. 엔트로피의 증가(Mega trend)
물리학에서는 열역학 제 2법칙 복잡한 정도의 증가
이것을 사회에서도 적용할 수 있다.
기술은 특정계층의 전유물이었지만, 나중에는 보편화된다.
1) 석빙고와 냉장고
얼음을 보관할 때 과거 석빙고에서 밖에 안되었지만,
오늘날에는 냉장고가 있어 많은 사람들이 얼음을 보관할 수 있다.
2) 금속활자, 미디어 매체와 권력의 이동
매체의 발달로 소수의 특권이 아닌 대중들이 계몽할 수 있는 계기가 되었다.
따라서 엔트로피의 증가는 무질서한 상태가 아니라 민주주의가 더 발전한다고 한다.
왕권이 아닌 대중의 힘이 중요시되게 되었다.
3. 개념의 시대, 융합의 시대
가. 개념의 시대(Conceptual Age)
3D프린터, 스마트폰의 발전에 따라 새롭게 떠오르는 가치
개념이라는 말보다 "컨셉을 잡는다"라는 말이 더 어울릴 것 같다.
"컨셉을 잡고 어떻게 할 것이다!"이런 말을 더 많이 쓰기 때문이다.
예를 들어 특정기업이 물건의 컨셉을 잡고 제품을 생산할 때
하나부터 열까지 모든 과정을 자체적으로 제작할 수 있는 역량을 가진 회사는 거의 없다.
대부분의 기업이 제품을 기획하고
시제품을 만드는 회사에 제품제작을 의뢰하고
시제품을 대량 생산하기 위해
공장을 갖고 있는 기업에게 위탁하는 형태다
또한 그 제품안에 들어있는 부품들도 다 자체생산을 하지는 않는다.
만약 100만원 짜리 스마트폰이라고 했을 때
각기업은 다음과 같은 이득을 취한다.
컨샙을 잡은 기업은 70만원
시제품을 만든 회사는 10만원
대량생산을 하는 회사는 10만원
부품을 만드는 회사는 10만원
대표적으로 스마트폰, 의류가 그렇다.
생산은 중국에 있지만, 컨샙을 잡은 회사들이 더 많은 이윤을 추구한다.
점차 3D프린트, 매체의 발전으로 기업들만 할 수 있던 전유물들이
생산, 마케팅을 개인 혼자서도 할 수 있게 되었기 때문에 개념(Concept)이 중요해 지고 있다.
나. 창조적 파괴(Creative destruction)
새로운 변화에 적응 못해 도태가 되면 죽음 뿐이다.
빠른 변화에 적응을 해야 된다.
대표적으로 코닥이 있다.
이미지센서의 출현을 했지만, 아직도 필름이 잘 팔리니 현실에 안주하고 있다.
세계 최고의 기업에서 파산에 이르렀다.
다. 융합(Convergence)
"두 형식의 경계선에서 나르시스의 감각마비상태에서 깨어난다"
mp3 + 휴대폰 + 카메라 = 스마트폰
과거에는 물건을 mp3, 휴대폰, 카메라를 각각 가지고 다녀야만 했다.
각자 고유의 기능을 했기 때문에 경계선이 선명하게 나타났다.
mp3는 음악재생,
휴대폰은 통신,
카메라는 사진촬영
하지만 스마트폰이 나오면서 3가지 물건의 경계가 허물어졌다!
파이(π)형 인간이 필요한다.
새로운 일, 분야를 찾아야 하기 때문이다.
※ Silo Effect
수직적 조직, 조직간 장벽과 부서이기주의를 조장함
※ Synergy Effect
부서간의 장벽을 허물고 서로 협조를 통해 더 새로운 가치를 창출함 >> MMRPG
충돌방지이론 >> 협력을 하기 때문에, 싸울 수가 없다.
댓글
댓글 쓰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