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 우리의 별, 태양
- 우리 지구가 살아가는 대에 필요한 거의 모든 것들의 원천
- 하루의 기준도, 1년의 기준도 모두 태양을 기준으로 하고 있다.
만약, 태양이 없다면
- 온도의 감소
- 어둠의 지속
- 생명체의 소멸
태양이 없는 지구는 상상할 수 없다.
가. 태양의 구조
1) 흑점(Sunspot)
태양에서 주변보다 낮은 온도를 갖고, 자기장영역을 갖는 곳이다.
어둡게 보이는 이유
태양 내부에 있는 밝은 빛들이 밖으로 나오지 못하여 상대적으로 어둡게 보임
2) 채층(chromosphere)
태양광구 위의 얇은 대기층
h알파라는 특별한 분광선을 사용하여 관찰하게 된다.
- 필라멘트 : 표면에 검은 줄무늬
- 홍염 : 태양가장자리의 불기둥
3) 코로나(Corona)
채층의 바로 위로, 태양의 대기층이다.
- 플레어 : 여러가지 가는 다발모양이 루프 부분으로 되어 있다.
이 모양은 태양의 자기력선을 따라 나타난다고 한다.
※ 온도가 높다보니 X선과 같은 파장이 짧은 광선을 이용한다.
2. 우주기상과 문명
가. 우주기상이란?
우주에서 일어나는 여러가지 현상으로부터
우리들을 보호하기 위한 학문이다.
1) 흑점의 폭발, 플레어
갑자기 단시간에 많은 빛이 지구에 도착하게 되면,
통신, 전자기기에 문제가 생기게 된다.
2) 오로라
태양풍이 지구에 도달하면 지구의 자기장에 따라 태양입자들이 모여서 발생하는 현상
나. 우주 기상 요소
1) 태양복사
- x-선 : 우주비행사 방사능 노출로 피폭
- 전파 : 전자간섭파 등으로 전파통신에 영향
2) 태양입자
- 고에너지 : 우주인, 극궤도 승무원에게 영향을 준다.
3) 지구자기장
- 코로나 물질방출 : 자기장교란이 일어난다.
※ 왜 우주기상이 중요한가?
우주에만 국한된 것이 아니라 우리 일상에 막대한 영향을 준다.
- 인공위성을 통해 기상정보, 전자통신, 위치정보 등을 알 수 있는데,
우주기상이 악화되면 이 정보들을 알 수 없기 때문이다.
조난을 당했을 때 위치정보를 알 수 없게 되었을 경우
구조를 받지 못하는 경우
실시간 생중계를 보지 못할 수도 있다.
댓글
댓글 쓰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