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 관저(關雎)



1. 기본해석


關關雎鳩(관관저구)
- 구룩구룩 물수리는

在河之州(재하지주)
- 황하의 섬에서 우네

窈窕淑女(요조숙녀)
- 요조숙녀는

君子好逑(군자호구)
- 군자의 좋은 짝이라네

參差荇菜(참치행채)
- 올망졸망 마름풀을

左右流之(좌우류지)
- 이리저리 헤지며 찾네

窈窕淑女(요조숙녀)
-요조숙녀를

寤寐求之(오매구지)
- 자나깨나 구하네

求之不得(구지부득)
- 구해도 찾지 못해

寤寐思服(오매사복)
- 자나깨나 생각하네

悠哉悠哉(유재유재)
- 생각하고 생각하니

輾轉反側(전전반측)
- 잠 못 자며 뒤척이네

參差荇菜(참치행채)
- 올망졸망 마름풀을

左右採之(좌우채지)
- 이리저리 뜯어보네

窈窕淑女(요조숙녀)
- 요조숙녀를

琴瑟友之(금술우지)
- 금슬좋게 사귀려네

參差荇菜(참치행채)
- 올망졸망 마름풀을

左右芼之(좌우모지)
- 여기저기 뜯어보네

窈窕淑女(요조숙녀)
- 요조숙녀와

鐘鼓樂之(종고락지)
- 풍악 울리며 즐기려네



2. 작품분석

시는 의도적인 것 보다 노래의 의미가 강하다.


* 關關(관관) *
같은 글자의 반복은 의성/의태어가 될 수 있다.


* 河州(하지주) *

河 : 강
之 : 어조사
州 : 섬, 모래톱

- 시의 배경이 나온다 : 모래섬


* 參差荇菜(참치행채) 左右流之(좌우류지) *

- 들쑥날쑥한 풀의 모양을 본떠
- 요조숙녀들의 좌우로 물결따라 하늘거리는 모양


* 寤寐求之(오매구지) 求之不得(구지부득) 寤寐思服(오매사복) *

- 요조숙녀에게 구애를 한다
하지만 요조숙녀의 마음을 얻지 못하여
자나 깨나 늘 생각한다


* 悠哉悠哉(유재유재) 輾轉反側(전전반측) *
- 생각하고 생각하여 잠을 이루지 못하네

※ 輾轉反側(전전반측)
- 잠을 이루지 못하는 모습


* 參差荇菜(참치행채) 左右採之(좌우채지) *
- 물풀을 좌우에서 캐는 것
- 아마 캐는 행위를 하는 것은 요조숙녀들일 것이라고 추측한다.

- 이 관저라는 시는 반복되는 부분이 많은 것으로보아 많은 사람들이 함께불러
흥을 돋우는 민요라고 할 수 있다.


* 窈窕淑女(요조숙녀) 琴瑟友之(금술우지) *
- 요조숙녀에게 진심으로 다가가려는 의지

- 琴瑟(금술) : 현악기, 거문고와 비파

※ 琴(금)이라는 한자가 심금(心琴)을 울린다고 할 때도 쓰인다.
아마도 마음을 움직이려는 금술을 켜는 것은 마음을 움직이려는 노력이 아닐까 한다.


* 參差荇菜(참치행채左右芼之(좌우모지) *

- 또 다시 참치행채가 등장하는 것은 백성들도 따라부를 수 있도록 하는 노래형식이다.


* 窈窕淑女(요조숙녀) 鐘鼓樂之(종고락지) *

- 종과 북으로 요조숙녀를 즐겁게 하네
- 鐘鼓(종고) : 종과 북



3. 못다한 이야기

가. 시경(時經)이란??

- 시를 경전화 시킨 책
- 중국 고대 시가의 총집
- 주나라 시대 : 황하강 유역에서 생겨난 총집
- 중국 시가의 시조


나. 시경의 작가는???

-  민가, 연회곡, 제사곡 등 여러가지 종류가 존재함
- 작가는 알려지지 않았다.


다. 관저는 개인적 사랑가인가?

내용적으로 보면 사랑가가 맞지만
시를 경전화한 시경에 있기 때문에 다른 의미가 있을 수 있다.

- 시경에 제일 첫 번째로 존재
- 15가지의 국풍으로 되어있으며, 학자들이 연구를 더 한다.


라. 현시대의 사랑과 가장 큰 차이점은?

큰 차이점은 없지만, 사랑을 얻기 위해 속앓이를 하는 것,
악기를 사용하여 마음을 표현하는 등

현대 사회는 각 개인적인 사랑이 다 다르지만
관저의 사랑은 보편성을 말하면서 다 그렇게 해야한다고 말하는 것 같다.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