5. 상산채미무(上山采蘼蕪) - 한대악부시



1. 기본해석

上山采蘼蕪(상산채미무)
- 산에 올라 향초를 캐네

下山逢故夫(하산봉고부)
- 하산하여 옛 남편을 만나

長跪問故夫(장궤문고부)
- 허리세워 꿇어앉아 묻기를

新人復何如(신인부하여)
- 새 사람은 어떤가요

新人雖言好(신인수언호)
- 새 아내는  좋다고 하나

未若故人姝(미약고인주)
- 옛 아내만큼 예쁘지 않아

顔色類相似(안색류상사)
- 생김은 비슷한 것 같으나

手爪不相如(수조불상여)
- 손끝이 미치지 못하네

新人從門入(신인종문입)
- 새 사람은 정문으로 들어오나

故人從閤去(고인종합거)
- 옛 사람은 뒷문으로 나갔네

新人工織縑(신인공직겸)
- 새 아내는 황색비단 잘 짜고

故人工織素(고인공직소)
- 전처는 흰 비단을 잘 짰다네

織縑日一匹(직겸일일필)
- 황색 비단은 하루에 넉장

織素五丈餘(직소오장여)
- 흰 비단은 다섯 장을 넘었다네

將縑來比素(장겸비래소)
- 황색비단을 흰 것에 비교하면

新人不如故(신인불여고)
- 새 아내는 전처만 못하네



2. 작품분석

* 上山采蘼蕪(상산채미무) *
- 采(채)는 <채집>이라는 뜻을 갖고있다.
- 蘼蕪(미무)는 <향초>는 뜻이다.
잎을 바람에 말려 향료로 사용 고대 부인들의 회임에 도움이 된다고 믿음


* 下山逢故夫(하산봉고부) *
- 逢(봉)은 <만나다> 라는 뜻을 갖고있다.
- 故(고)는 <옛날>이라는 뜻으로 쓰인다.


* 長跪問故夫(장궤문고부) *
- 問 / 故夫(문/고부)는 동사, 목적어 순이다.
<問, 물었다> <故夫, 옛 남편에게>
-長跪(장궤)는 <무릎을 꿇었다>는 해석이 아니라,
 <상체를 길게 곧추세우다>는 뜻이 강하다.


* 新人復何如(신인부하여) *
- 새 사람은 어떤가요
-新人(신인)이라는 뜻은 <새로운 사람>이라기 보다 <새로운 아내>의 뜻이 더 가깝다.


* 新人雖言好(신인수언호) *
- 새 아내는  좋다고 하나


* 未若故人姝(미약고인주) *
- 未若(미약)은 <~같지 못하네>라고 해석을 한다.


* 顔色類相似(안색류상사) *
- 顔色(안색)은 <얼굴의 색>으로 해석할 수도 있지만, 
<외모, 생김> 등으로도 해석할 수 있다.


* 手爪不相如(수조불상여) *
- 手爪(수조)는 <손톱>이라는 뜻이지만,
여기에서는 <솜씨, 만드는 기술>등으로 해석하면 된다.


* 新人從門入(신인종문입) *
- 새 사람은 정문으로 들어오나

* 故人從閤去(고인종합거) *
- 옛 사람은 뒷문으로 나갔네

* 新人工織縑(신인공직겸) *
- 새 아내는 황색비단 잘 짜고
- 新人(시인)은 <새 아내>라는 뜻을 갖고있다.


* 故人工織素(고인공직소) *
- 전처는 흰 비단을 잘 짰다네
- 故人(고인)은 <옛 아내>라는 뜻을 갖고 있다.


* 織縑日一匹(직겸일일필) *
- 황색 비단은 하루에 넉장
- 一匹(일필)은 우리가 알고 있는 <한필>이라는 뜻이다.

* 織素五丈餘(직소오장여) *
- 흰 비단은 다섯 장을 넘었다네


* 將縑來比素(장겸비래소) *
- 황색비단을 흰 것에 비교하면


* 新人不如故(신인불여고) *
- 새 아내는 전처만 못하네


3. 못다한 이야기

가. 이혼이라는 것이 당시 사회적 분위기로는 부정적일 것 같은데...

- 한나라(한대)에는 유가를 기반으로 절대왕조의 질서를 세운 나라
- 예락의 사회로 만들어가는 그런 체제를 갖춘 시기
- 이혼에 대한 문제는 시를 보면 여인들의 위상을 예상해 볼 수 있다. 
- 혼인을 한 후에 칠거지악이 있었는데, 그중에 하나만 해당되어도
쫓겨날 충분한 명분이 된다.
- 여성들한테 엄청나게 불리하게 행해졌음을 알 수 있다.

※ 칠거지악

- 不順父母(불순부모) : 시부모에게 순종하지 않음
- 無子(무자) : 아들이 없음
- 不貞(부정): 음탕함
- 嫉妬(질투) : 질투함
- 惡疾(악질) : 나쁜 병이 있음
- 口說(구설) : 말이 많음
- 竊盜(절도) : 도둑질을 함



나. 이 시가 사회적 부조리를 대변한다고 볼 수 있는가?

- 당시 사대부 사회에서 그냥 받아들여지는 상식이었지만,
- 문제가 있다는 것은 알고 있었을 것이다.
- 이런 부당함을 알리기 위해서 이런걸 기록으로 남기지 않았으련지...



다. 그 당시 백성들이 상단한 의식이 있었다는 생각이 드는데...

- 지배계층이 보통으로 받아들이는 것에 대한 문제점을 제시하면서
돌파해보고 하는 것을 문학작품에 담고 있는 것이 있다.
- 외칠 수 밖에 없었던 내용의 노래들이 문학사적 중요성을 갖고 지금도 전해져 오는 이유 중에 하나라고 할 수 있다.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