4. 한국 사회적기업의 사례



1. 일자리제공형

가. 메자닌 아이팩

- 2008년 설립
- 대부분 근로자 새터민
- SK에너지, 열매나눔재단
- 2012년 설립 4년만에 손익분기점을 넘어 흑자전환

- 주요사업 : 종이재질의 포장박스 생산
- 목적 : 새터민을 빈곤층으로 전락하지 않도록 도움


* 메자닌(Mezzanine) *
 <층과 층사이>라는 뜻 계층과 계층을 연결하겠다는 취지

나. 한빛 예술단

- 2006년에 창단
- 시각장애인의 음악적 재능을 발굴 육성
- 시각장애인의 편견을 깨뜨리고, 장애인 공연예술 발전에 기여

- 주요사업 : 문화콘텐츠 개발
- 목적 : 시각장애인 고용창출

다. 빵집(PPANGJIP)

- 2008년 설립
- 스타벅스 코리아 부산 서면지점과 연계하여 전문성을 높이고 있음

- 주요사업 : 커피 및 제과 제빵서비스 제공
- 목적 : 장애인고용 창출


라. 코비즈(주식회사)

- 2009년 설립
- 문화적 차이로 생기는 진료과정의 오해 소지 및 불안요소 제거
- 러시아 의료관광 환자 유치
- 검진 환자의 검찰, 경찰, 법원이 요청하는 자료 통역 및 번역

- 주요사업 : 의료관광회사
- 목적 : 해외이주여성 등 취약계층 7명을 고용



2. 사회서비스제공형

가. 충남 교육 연구소

- 2000년 설립
- 주요사업 : 농촌교육, 청소년문화학교, 학교지원사업, 교육연수
- 목적 : 지역의 교육자, 학부모, 주민 등이 주체가 되어 필요한 곳에 교육인력 파견

나. 행복한학교재단

- SK와 지방자치단체, 교육청과 함께 설립
- 주요사업 : 방과 후 강사 일자리 제공

- 목적 : 공교육 활성화
- 서울, 부산, 대구, 울산 4개 지역에서 운영

다. 사단법인 문화쉼터

- 1996년 부산대학로 앞에서 시작, 2006년 사단법인 허가
- 재소자를 위해 음악회 및 재소자 합창단 '다솜' 창립

- 주요사업 : 문화공연, 악기레슨, 음악교실, 공익문화공연
- 목적 : 고령자 고용을 통해 일자리 창출




3. 혼합형

가. 사단법인 안심생활

- 우리나라 최초의 사회적 기업 중에 하나
- NGO, 부산시, 현대자동차가 주체되어 협력
- 일자리창출분야 대통령 표창 수상
- 정부지원 종료후에도 계속 운영
- 최근 소셜프랜차이즈 방식을 적용하면서 계속 노력함

- 주요사업 : 휠체어 리프트 차량 지원, 방문 요양 서비스, 복지 용구 대여서비스, 주간보호센터 운영
- 목적 : 일자리 창출 및 거동불편자 복지

나. 오가니제이션 요리 

- 2007년 <일과 요리 청소년 창업프로젝트>에서 출발
- 2008년 사회적기업으로 인정
- <영셰프 스쿨> 청소년 요리대안학교
- <슬로비> 홍대 앞 커뮤니티카페
- 2013. <제주 슬로비> 로컬푸드 레스토랑
- 2013, <성북 슬로비> 청소년 도시락가계
- 2014, <오요리아시아> 아시아시장 내 빈곤여성 자립지원, 이 또한 2014년 사회적기업이 됨

- 주요사업 : 로컬푸드사업, 청소년 요리인재 양성
- 목적 : 요리교육 및 일자리창출

다. 행복도시락

- SK, 행복나눔재단, 정부, 지방자치단체, NGO참여
- 다자간 협력 모델의 성공작품

- 주요사업 : 저소득층 어린이 무료도시락 나눔
- 목적 : 일자리창출, 저소득층 지원



4. 기타형

가. 아름다운 가게

- 2002년 안국역 매장을 시작
- 2008년 독립법인으로 재출범
- 친환경적 변화 추구, 나눔, 물건의 재사용과 순환
- <뷰티플펠러우>라는 사회적 기업가 발굴 노력

- 주요사업 : 중고물품판매
- 목적 : 공익캠페인, 공정무역, 국제지원 자금 모금, 나눔실천

나. 노리단

- 2007년 사회적기업으로 인정
- 일과 놀이, 배움이 순환하는 다기능 복합체
- 자원을 재활용하여 공연을 한다.
- 버려진 물건을 악기로 사용하여 공연을 하는 등

- 주요사업 : 물건재활용을 통한 공공 문화예술, 공공 콘텐츠 제작
- 목적 : 청년지원, 공익을 위한 문화예술 교육

다. 트래블러스맵

- 공정여행, 지속가능한 여행을 추구
- 어린이 청소년을 대상으로 테마 여행을 기획
- <로드스꼴라> 대안학교 운영

- 주요사업 : 여행상품판매
- 목적 : 관광산업구조 혁신



5. 지역사회공헌형

가. 홍성유기농영농조합

- 2005년 창립, 2012년 9월 사회적기업으로 인정
- 친환경 농산물 생산자 조직
- 풀무학교운영

- 주요사업 : 친환경 농산물생산
- 목적 : 자연보호, 일자리창출, 가정경제활성화

나. 민들레의료복지 사회적협동조합

- 2002년 303명으로 출발하여 / 조합원 3,500명으로 증가
- 주민과 의료인이 공동으로 소유와 운영을 한다.
- 민들레 의원, 한의원, 치과, 노인복지센터 등 많은 기관이 운영
- 무한경쟁으로 수익을 추구하는 병원과 달리 지역 주민들의 연대관계를 통한 마을 주치의 역할
- 상업화된 의료시스템의 대한

- 주요사업 : 의료기관 운영
- 목적 : 건강한 지역사회 만들기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