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 사회적기업 국제 비교
가. 미국과 유럽의 사회적기업 비교
1) 미국
- 협의적개념
- 수익창출강조
- 재단조직형태를 인정하고 있음
- 비영리조직의 모든 활동
- 수혜자는 단순한 역할을 하며, 수혜자는 기업의 의사결정에 참여하지 않음
- 정부의 지원이 거의 없음
- 경영학 중심의 연구
2) 유럽
- 광의적개념
- 사회적수혜강조
- 협회, 조합의 형태가 많음
- 수혜자는 기업의 의사결정에 적극적 참여
- 정부의 적극적인 지원
- 사회과학 중심의 연구
- 대인서비스가 중심
2. 사회적기업 모델 국제 비교
가. 한국의 사회적 기업
미국 + 유럽의 혼합되어 있다.
하지만 근본적으로 정부주도의 인증제와 정책이 있어서 미국, 유럽과는 다르다.
1) 수익(60%) + 사회적 수혜(40%)의 비율로 되어있다.
2) 5가지의 유형을 띄고 있다.
3) 경영학 + 사회복지학이 주를 이루고 있다.
4) 시장경제 지향적
5) 법적인 기초가 갖추어져있음
6) 최소한의 이윤분재는 가능하다
7) 지역사회, 근로자, 수혜자 등 다양한 사람이 의사결정에 참여
>> 이는 유럽보다 개방적인 형태를 띄고 있다.
3. 해외 사회적기업 사례1 : 아라빈드 안과병원
가. 국가 : 인도
나. 설립자 : 벤카타스와미 박사
다. 설립배경
: 공립병원에서 근무하던 벤카타와스미는 저소득층이 돈이 없어 시력을 잃고, 일자리를 잃어 빈곤의 악순활을 목격하여 은퇴 후 개인병원을 차림
라. 운영방식 : 돈있는 환자에게는 진료비를 받고, 가난한 환자는 무상으로 진료
마. 특징
- 가장 낮은 가격으로, 가장 많은 환자의 백내장 수슬을 제공,
- 세계 최대의 안과 서비스기관,
- 박애사상을 기반,
- 환자를 그룹화시키고, 분업화 된 체계를 통해 의사당 진료환자 확대
- Auro lab을 설립하여 연구, 교육, 안구은행, 안과제품을 생산하여 비용절감
바. 선순환
효율성 증가에 따라 이익이 상승하여 단위진료의 비용은 감소 >>
비용감소는 곧 수익의 증가 >>
수익은 병원시설 및 무료진료에 재투자
사. 동향
- 네팔, 이집트 등 개발도상국 270여개의 병원으로 전파됨
4. 해외 사회적기업 사례2 : 빅이슈
가. 국가 : 영국에서 출발
나. 설립자 : 존버드, 1991년 설립
다. 설립배경 : 사회구조로 인한 빈곤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설립
라. 운영방식 : 노숙자에게만 잡지를 판매할 수 있는 권한을 주어, 그것을 통해 자활의 계기를 제공함
마. 콘테츠 제작 : 재능기부로 진행이 되고 있다.
바. 근황 : 한국 등 10여개국에서 14종이 발행되고 있다.
바. 근황 : 한국 등 10여개국에서 14종이 발행되고 있다.
5. 해외 사회적기업 사례3 : 피프틴레스토랑 & 블린데쿠
가. 피프핀레스토랑
1) 국가 : 영국
1) 국가 : 영국
2) 설립자 : 제이미 올리버, 2002년
3) 운영방식 : 불우한 청소년들에게 일자리를 제공함
4) 선순한 : 음식판매의 수익 >> 불우한 청소년 지원
* 음식으로 사회의 어두운 곳에 희망을 *
3) 운영방식 : 불우한 청소년들에게 일자리를 제공함
4) 선순한 : 음식판매의 수익 >> 불우한 청소년 지원
* 음식으로 사회의 어두운 곳에 희망을 *
나. 블린데쿠, 최초의 암흑 레스토랑
1) 국가 : 스위스 취히리
2) 운영방식 : 시각장애인을 고용하여 암흑공간에서 가이드 및 서빙
3) 효과 : 어두운 곳에서 특별한 능력을 보이는 시각장애인을 통해 장애인에 대한 편견을 지운다.
댓글
댓글 쓰기